본문 바로가기

히스타민과 알레르기 불내증

건강 정보 2023. 11. 10.


히스타민과 건강

히스타민은 면역 체계가 세포 간에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방출하는 화학 물질입니다. 히스타민은 신체가 알레르겐(allergen, 이물질)에 반응할 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다음을 포함하여 다른 많은 중요한 기능도 담당합니다.

 

  • 뇌에 메시지 보내기
  • 위세포에 위산을 만들라고 지시
  • 수면-각성 주기 (sleep-wake cycle) 조절
  • 인지 기능(cognitive function)에 도움
  • 부상이나 감염에 대한 반응 유발

 

히스타민은 몸 전체에 존재하지만 주로 비만 세포(mast cells)와 호염기구(basophils)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비만 세포는 폐, 피부 아래, 내장, 혈관 근처, 신경 및 림프관 근처와 같이 느슨한 결합 조직에 주로 존재하는 백혈구입니다. 호염기구는 골수에서 형성되는 또 다른 유형의 백혈구입니다. 성숙되면 호염기구는 부상 후 치료하기 위해 혈류를 통해 손상된 조직으로 이동합니다.

 

히스타민과 알레르기

일반적으로 히스타민(histamine)은 외부 병원체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의 경우 신체가 먼지, 꽃가루 또는 비듬과 같은 알레르기 항원에 노출되면 면역 체계가 해당 물질이 해롭다고 잘못 생각하여 과잉 반응합니다.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면역 체계가 히스타민과 기타 화학 물질을 혈류로 방출합니다.

 

이렇게 히스타민이 방출되면 눈, 목, 폐, 코, 피부 또는 위장관에 작용합니다. 화학물질은 콧물, 재채기, 가려움증, 붓기, 눈물 등의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면역 반응이 심할 경우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히스타민은 음식 알레르기에도 관여합니다. 알레르기가 있는 음식을 먹거나 마시면 히스타민이 구토, 설사 또는 호흡 곤란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히스타민의 수용체 유형

히스타민이 신체에 주는 효과는 히스타민이 결합하는 수용체에 따라 달라집니다. 우리 몸에는 네 가지 유형의 히스타민 수용체가 있습니다.

 

  • H1 수용체, H1 receptors
    뇌 세포, 기도의 평활근 세포(smooth muscle cells) 및 혈관을 포함하여 신체 전체에 존재합니다. H1 수용체가 활성화되면 콧물, 재채기, 코막힘 등의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가려운 피부, 저혈압(low blood pressure), 혈관 확장, 기도 수축, 안면 홍조(flushing), 심박수 증가와 같은 아나필락시스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H1 수용체는 또한 수면-각성 주기, 체온, 감정, 기억 및 음식 섭취를 조절합니다.

  • H2 수용체, H2 receptors
    주로 위장, 평활근 세포 및 심장 세포에서 발견됩니다. 활성화되면 위산 분비, 저혈압, 안면 홍조, 두통, 심박수 증가, 기도 수축, 기도 점액선 자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H3 수용체, H3 receptors
    주로 신경 세포에서 발견됩니다. 이는 히스타민(histamine)과 도파민(dopamine) ,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아세틸콜린(acetylcholine)과 같은 기타 화학물질의 방출을 조절합니다.


  • H4 수용체, H4 receptors
    골수(bone marrow)와 조혈 세포( hematopoietic cells , 다른 유형의 혈액 세포로 발달할 수 있는 미성숙 세포)에 존재합니다. 연구자들은 H4 수용체가 염증성 질환(inflammatory condition)과 자가면역 질환(autoimmune disease)의 요인이라고 믿습니다.

 

[관련글] 글루텐 불내증-체강 질병-밀 알레르기 서로 다른가요?

 

글루텐 불내증-체강 질병-밀 알레르기 서로 다른가요?

글루텐과 건강 셀리악병(celiac disease), 밀 알레르기(wheat allergy) 또는 글루텐 불내증(gluten intolerance)을 가지고 있다면,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지만 진단은 현저히 다릅니다. 국내에서는 아직

ucanex.com

 

히스타민과 질병

히스타민 방출과 관련된 일부 알레르기 질환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아토피성 피부염, Atopic dermatitis (습진, eczema)
    건조한 피부, 발진, 비늘 조각 및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염증성 피부 상태입니다.

  • 접촉성 피부염, Contact dermatitis
    향수, 화장품, 금속, 식물 등 자극 물질과 접촉했을 때 발생하는 피부 반응입니다.

  • 알레르기성 결막염, Allergic conjunctivitis
    알레르겐에 대한 반응으로 인해 눈이 붓고, 가렵고, 붉어지거나 염증이 생깁니다.

  • 알레르기성 비염, Allergic rhinitis (건초열, hay fever)
    재채기, 콧물, 코막힘, 가려운 눈, 인후통을 유발할 수 있는 알레르기 반응입니다.

  • 알레르기 천식, Allergic asthma
    알레르기 항원이 천식 증상을 유발할 때 발생하는 상태입니다.

 

히스타민 불내증

히스타민 불내증(histamine intolerance)은 쉽게 이야기하면 우리 몸에 히스타민이 너무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최근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히스타민 불내증은 소화된 히스타민을 분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효소인 디아민산화효소(DAO, diamine oxidase) 수치가 낮을 때 주로 발생합니다.

 

 

 

한 연구에 발표된 환자 기록 분석에서 히스타민 불내증의 증상이 매우 다양하며 종종 다른 질환의 증상과 유사하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몇 가지 일반적인 징후는 다음과 같습니다.

 

  • 팽만감
  • 소화 문제
  • 두통
  • 홍조
  • 충혈 눈물이 나거나 코가 가려움
  • 심장 두근거림
  • 현기증
  • 저혈압
  • 두드러기
  • 폐의 기도가 좁아짐

 

최근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다음 요인이 히스타민 불내증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유전자 돌연변이
  • 혈압약(blood pressure med), 가래 감소제(phlegm reducers), 항부정맥제(antiarrhythmics), 항구토제(antiemetics), 항생제(antibiotics) 또는 항우울제(antidepressants)와 같은 특정 약물
  • 알레르기 질환 또는 염증성 장질환(IBD)과 같은 기타 의학적 질병
  • 히스타민 방출을 유발하는 특정 음식이 풍부한 식단
  • 세균의 과증식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의사가 히스타민 불내증을 의심하는 경우 히스타민이 풍부한 음식이 적은 식단을 따르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또한 DAO를 강화하는 보충제가 일부 개인에게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이러한 결과를 확인하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일반적인 히스타민이 풍부한 음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해물
  • 소금에 절인 양배추
  • 훈제 고기
  • 베이컨
  • 치즈
  • 절인 것
  • 시금치
  • 가지
  • 토마토

 

히스타민 불내증은 최근 몇 년 동안 광범위하게 연구되었지만 의료계에서는 이 상태에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 약간의 논쟁이 있습니다. 최근 생체분자 연구에 따르면 체내의 높은 수준의 히스타민을 효과적으로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있어 아직 답을 얻지 못한 질문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히스타민 불내증 예방 약물

우리 몸의 히스타민 수치를 예방할 수 있는 일부 의약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 H1 항히스타민제
    이 약들은 H1 수용체를 차단함으로써 작용하며 일반적으로 알레르기 증상을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 H2 항히스타민제
    위산 방출을 유발하는 H2 수용체를 차단합니다. H2 항히스타민제는 일반적으로 소화성 궤양, 소화 불량 또는 위식도 역류 질환(GERD)과 같은 소화 문제를 돕기 위해 복용됩니다.

  • 에피네프린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나 천식 발작에 기도를 열어주는 데 사용됩니다.

  •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스테로이드는 히스타민의 염증 효과를 줄일 수 있습니다.

  • 보충제
    비타민 C, 구리, 비타민 B6와 같은 일부 보충제는 히스타민 수치를 낮출 수 있습니다.

 

히스타민 불내증 관리

알레르기, 천식 또는 히스타민 불내증의 징후가 나타나면 의사 방문을 권장합니다. 증상을 조절하고 재발을 예방하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여러 가지 치료법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영상] Signs of Histamine Intolerance (and How to Fix I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