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세플라스틱과 건강
플라스틱 입자가 작을수록 우리 몸의 세포가 더 쉽게 흡수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모양, 표면 및 화학적 특성은 입자가 인체 조직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오늘 이야기할 이야기는 독일의 연구자 들이 국제 포럼에 제출한 연구결과 입니다.
이 연구를 진행한 책임자는 이 연구를 통해 나노플라스틱(nanoplastics)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에서 여전히 큰 지식 격차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지만 단순히 인간에게 전달할 수 없는 세포 배양에 대한 실험실 실험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플라스틱 입자(Plastic particle)는 풍화 및 부패하는 폴리머 재료, 자동차 타이어 또는 의류 마모 및 기타 여러 원인으로 인해 환경에 유입됩니다. 그 결과 다양한 형태의 미세플라스틱 입자(microplastic particle)가 음료나 음식을 통해 흡입되거나 섭취될 수 있습니다.
현재의 지식에 따르면, 미세 플라스틱(microplastic)은 우리 몸의 건강에 비교적 낮은 위험을 제기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크기는 1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미터, 단위 µm)~ 5밀리미터(1000분의 1미터, 단위 mm) 사이이므로 인간 세포에 상당한 정도로 흡수되어 체내에 분포되기에는 너무 부피가 너무 큽니다. 소화되지 않으며 대부분 다시 배설됩니다.
미세플라스틱은 1µm~ 5mm 사이의 크기
나노플라스틱 우리 몸의 세포에 들어갈 수 있다?
더 작은 입자, 서브마이크로 및 나노 플라스틱의 경우에는 그 상황이 조금 다릅니다. 이 플라스틱의 입자는 크기가 1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 단위 nm)에서 1000나노미터(1마이크로미터에 해당) 사이입니다. 인체에 들어갈 수 있는지 여부와 그 양은 아직 확실하지 않습니다.
서브마이크로 또는 나노플라스틱
1nm~1000nm(1µm) 사이의 크기
연구팀은 서브마이크로미터 및 나노플라스틱 입자와 우리 몸의 소장(small intestine) 및 간(liver) 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했습니다. 이러한 입자는 너무 작고 연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인체 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통찰력을 얻기가 쉽지 않습니다.
연구팀은 이를 위해 다양한 현미경 및 테스트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세포는 플라스틱 식기 및 칼 붙이 또는 식품 포장에 사용되는 다양한 플라스틱 유형에 노출되었습니다.
장 점막은 소수의 미세 입자만 흡수?
입자가 작을수록 더 많이 흡수된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입자의 유형도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소장의 내용물과 유기체 사이의 자연적인 장벽으로서 소장의 세포는 다소 내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미세플라스틱은 세포에 소량만 침투했습니다. 반면에 서브마이크로미터 범위의 더 작은 입자는 장 및 간 세포에서 더 많은 양으로 측정될 수 있습니다. 입자는 세포막에 직접 부착되거나 세포막의 작은 기포에 갇히게 되는데, 이를 세포내이입(endocytosis)이라고 합니다.
그러한 인공 내포물이 세포의 정상적인 대사를 방해할 수 있는지 여부는 아직 명확하지 않습니다. 플라스틱 입자는 또한 잠재적으로 유해한 물질을 자체적으로 결합하여 함정물질로 세포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서브마이크로미터 및 나노플라스틱의 가능한 효과, 예를 들어 염증 효과에 대해서는 추후에 그 정도에 대해서 조사할 예정입니다.
연구팀은 매우 단순화된 방식으로만 현실을 나타낼 수 있는 모델 시스템을 사용하여 실험실에서 작업했지만 우리의 발견은 가장 작은 플라스틱 입자의 거동에 대한 지식의 격차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그러나 그 결과가 인간에게도 유효한지 여부는 아직 단정할 수 없으며, 이를 위해서는 실험실에서 발견한 사실을 후속 실험에서 검증해야 합니다.
플라스틱 입자가 작을수록 세포가 더 쉽게 흡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모양, 표면 및 화학적 특성은 입자가 인간 조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기 단계의 파킨슨병 : 규칙적, 중등도 운동이 진행을 늦춰줘 (0) | 2022.08.26 |
---|---|
BMI 가 낮은 사람은 활동적 일까요? (0) | 2022.07.19 |
인클리시란 : 새로운 콜레스테롤 저하제, 국내승인은 아직? (0) | 2022.07.16 |
견과류가 우리 몸에 좋은가요? (0) | 2022.07.15 |
우유와 대체 우유의 장단점 (0) | 2022.07.14 |
댓글